| 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2 | 3 | 4 | |||
| 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통나무 건너기
- 5와 6의 차이
- 백준
- ZOAC 2
- 대체 암호화
- 소가 길을 건너간 이유3
- 키워드 암호화
- 거스름돈
- 코딩 테스트
- 나동빈
- 구현
- 세탁소 사장 동혁
- Pop
- 위치 암호화
- 그리디 알고리즘
- Greedy
- 파이썬
- 2 + 1 세일
- 문자 변환표
- 사과 담기 게임
- 시저 암호화
- 동적 계획 알고리즘
- 욱제는 효도쟁이야!!
- JoCoding
- 비연결형 통신
- 전자 메일
- 컬럼 암호화
- 한빛미디어
- 컴퓨터 네트워크
- DES 알고리즘
- Today
- Total
목록분류 전체보기 (42)
주니어로서의 백 걸음, 개발자로서의 한 걸음
반복문 for문 for 문의 기본 구조 리스트 = [1, 2, 3] for 변수 in 리스트 (또는 튜플, 문자열): print(변수) 1 2 3 리스트나 튜플, 문자열의 첫 번째 요소부터 마지막 요소까지 차례로 변수에 대입되어 안에 있는 요소를 하나씩 반복한다. 다른 언어의 for each 문과 비슷하다!!! 1. 전형적인 for문 test_list = ['one', 'two', 'three'] for i in test_list: print(i) one two three test_list 리스트의 첫 번째 요소인 'one'이 먼저 i 변수에 대입된 후 print(i) 문장을 수행한다. 다음에 두 번째 요소 'two'가 i변수에 대입된 후 print(i)문장을 수행하고 리스트의 마지막 요소까지 이것을 반..
집합 자료형 set 집합에 관련된 것을 쉽게 처리하기 위해 만든 자료형 집합 자료형 #빈 집합 자료형 선언 >>>s = set() # 원소가 있는 집합 자료형 선언 >>>s1 = set([1, 2, 3]) >>>s2 = set({1, 2, 3}) >>>s3 = {1, 2, 3} 모두 같은 집합을 만든다. #집합 자료형 연산 >>>s1 = set([1, 2, 3, 4, 5]) >>>s2 = set([3, 4, 5, 6, 7]) >>>print(s1 & s2) # 교집합 {3, 4, 5} >>>print(s1 | s2) # 합집합 {1, 2, 3, 4, 5, 6, 7} >>>print(s1 - s2) # 차집합 {1, 2} #set()괄호 안에 문자열 입력 >>>s2 = set("Hello") >>>s2 {..